12. 4. 2.

역사체험축제의 지존, 2012 대가야체험축제

역사체험축제의 지존, 2012 대가야체험축제


강력한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고유의 역사와 찬란한 문화예술을 꽃피웠던 고대왕국 대가야와 직접 대면할 수 있는 `2012 대가야체험축제` 4 19()부터 22()까지 4일간 경북 고령군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일원에서 열린다.
2005년 시작되어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하며 우리나라 역사체험축제의 지존으로 자리한 `2012 대가야체험축제`는 후기가야연맹체의 맹주국인 `대가야`521년 역사를 꼼꼼히 되새길 수 있는 학습형 축제로, 어린이들은 직접 보고 듣고 만지고 체험하면서 우리의 고대문화를 배울 수 있고, 어른들은 고구려, 백제, 신라에 가려진 한반도의 감춰진 역사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서기 42년 이진아시왕에 의해 건국되어 562년 신라 진흥왕의 공격으로 멸망할 때까지 한반도 고대역사의 한 축을 담당했던 `대가야`의 숨겨진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

◈ 대가야의 혼불, 2012 대가야체험축제 ◈
개최기간 : 2012 419() ~ 422(), 4일간
◎ 개최장소 :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및 대가야박물관 일원
◎ 문     : ()대가야체험축제추진위원회 054-950-6424, 고령군청 문화체육과 054-950-6111~2
◎ 홈페이지 : http://fest.daegaya.net
◎ 주요행사 : 주제관 `대가야의 혼불`, 주제극 `대가야의 혼, 가얏고`, 대가야유물체험, 대가야생활체험, 대가야용사체험, 대가야예술체험, 대가야토기체험, 대가야문화체험, 가야금의 비밀, 대가야고을체험, 농촌 및 전통문화체험, 암각화로 여는 대가야 등등
2011년 대가야체험축제 사진 보기 [클릭]

1,500년을 넘어 대가야 속으로 떠나는 역사체험여행

대가야체험축제는 1,500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고대역사 속으로 현대인을 데려가는 타임머신이다. 대가야시대의 역사와 문화, 대가야인의 생활상을 펼쳐놓은 축제장은 21세기 대한민국이 아니라 전성기를 맞고 있는 5세기의 대가야다. 대가야인들이 어떻게 살았고 무엇을 이뤘는지, 어떤 나라를 꿈꾸었고 무엇을 만들었는지, 그들 속에서 함께 호흡할 수 있다.

2012년 대가야체험축제는 대가야시대의 모든 이야기를 담았다. 금관과 장신구 등 대가야의 유물을 만들어보는 `대가야유물체험`, 대가야인들이 살았던 움집과 타던 배를 만드는 `대가야생활체험`, 갑옷과 투구, 칼을 만들어 대가야의 용사가 되어보는 `대가야용사체험`, 대가야의 문양으로 자신만의 작품을 만드는 `대가야예술체험`, 토기와 토우를 만드는 `대가야토기체험`, 철기방과 임종을 체험하는 `대가야문화체험`, 가야금을 만들고 연주하는 `가야금의 비밀` 등등 역사공부는 기본, 대가야인들의 삶과 문화, 놀이와 예술을 제대로 체험해볼 수 있다.


<대가야 용사체험과 생활체험>

대가야용사체험구역은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크기의 작은 활과 화살을 직접 만들고 쏘는 대가야 활 만들기를 비롯해 나무를 재료로 활용하는 대가야 칼 만들기, 두꺼운 종이를 이용하는 대가야 투구와 갑옷 만들기 등 4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자 어린이들에게 특히 인기가 높다.
대가야생활체험구역은 대가야인들이 살던 움집을 재현한 미니어처를 조립하는 대가야움집제작체험, 일본과 교역하던 대가야의 목선을 제작하는 대가야배만들기체험, 대가야시대 왕과 귀족, 군인들이 입었던 옷을 입어볼 수 있는 대가야복식체험, 말 모양의 작은 수레를 타고 놀 수 있는 대가야수레타기체험, 성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대가야저울추무게달기체험 등 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가야 유물체험과 예술체험 그리고 가야금의 비밀>

대가야유물체험구역은 고분에서 출토된 대가야의 금관을 직접 만들어보는 대가야금관제작체험, 대가야시대의 목걸이와 귀걸이 등 장신구를 만드는 대가야장신구체험, 대가야 문양을 금속에 찍는 대가야유물타각체험, 철사를 이용해 팔찌나 반지를 만드는 대가야철사공예체험, 대가야의 역사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대가야퍼즐맞추기체험 등 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가야예술체험구역에서는 대가야의 다양한 문양을 활용한 가면을 만드는 가면만들기체험을 비롯해 목공예체험, 생활아트체험, 판화엽서만들기 등 4종의 체험이 운영된다.
대가야를 대표하는 악기인 가야금과 가야금을 만든 악성 우륵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가야금의 비밀구역은 가족단위체험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데, 가야금을 연주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물론 미니가야금을 직접 만들어 가져갈 수 있다. 1가족 체험비가 30,000원으로, 일반적인 유료프로그램(2~3,000)에 비해 월등히 가격이 높지만, 그만큼 값어치가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대가야 문화체험과 토기체험, 고을체험>

대가야문화체험구역은 철의제국이라 불릴 만큼 질 좋은 철과 철제무기류를 보유한 대가야의 철기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대가야철기방체험을 비롯해 유서를 쓰고 관 안에 누워보는 임종체험, 이벤트와 퀴즈를 접목한 대가야역사추리퀴즈체험을 접하고, 역사체험에 대한 수료증을 받을 수 있는 구역이다.
대가야토기체험구역은 토기와 토우를 축제기념품으로 만들어 가져갈 수 있도록 토기체험과 토우체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 양전동 암각화(보물 제605)와 고아동 벽화고분에 새겨진 각종 문양을 탁본할 수 있는 `암각화로 여는 대가야구역`을 비롯해 달걀밥만들기체험, 솟대∙솜사탕만들기체험, 통감자버터구이체험, 메론체험, 수박연필만들기체험 등등으로 구성된 `대가야고을체험구역`도 운영된다.



<역사 재현극 `대가야의 혼, 가얏고`>

대가야테마관광지 가야산성 광장에서 펼쳐지는 역사 재현극 `대가야의 혼, 가얏고`는 대가야와 금관가야의 시조인 이진아시왕과 수로왕의 어머니로 전해지는 여신인 `정견모주`와 가야금을 소재로 대가야의 역사를 흥미진진하게 전하는 주제공연으로 축제기간 중 1 4회씩 공연된다. 재현극이 끝나면 배우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된다.
대가야박물관 기획전시실과 대가야가마터에 마련된 주제관인 `대가야의 혼불`도 빼놓지 말아야 할 코스로, 대가야의 숨결과 장인의 혼을 느낄 수 있다.




딸기 따고, 엿 만들고…. 농촌 및 전통문화체험

고령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는 딸기의 고장이다. 친환경으로 재배하고 꿀벌로 수정시킨 고령딸기는 빛깔, 당도, 향기가 뛰어나고 비타민C가 풍부해 해외로도 수출이 되는 명품이다. 축제기간에 운영되는 딸기체험은 다른 시기에 비해 저렴하게 운영된다. 딸기체험을 통해 싱싱한 딸기를 실컷 따먹고, 담아올 수 있다.
영남학파 종조인 문충공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후손들이 350여년간 대를 이어 살아오는 `개실마을`은 고령의 대표적인 농촌체험마을로 엿 만들기, 국수만들기, 한과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으며, 한옥민박도 가능하다.

찾아가는 길
◎ 경부고속도로ㆍ중부고속도로ㆍ중부내륙고속도로ㆍ중앙고속도로 → 88고속도로 고령IC → 고령대가야박물관

고령 관광명소
◎ 잊혀진 고대왕국에 대한 기록, 대가야박물관ㆍ왕릉전시관 [클릭]
◎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조성된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클릭]
◎ 대가야 왕과 왕비들의 영원한 쉼터, 지산동고분군 [클릭]
◎ 고색창연한 한옥이 있는 농촌체험 우수마을, 개실마을 [클릭]
3대 악성인 우륵을 기리는 우륵박물관 [클릭]
◎ 선사시대 유적지, 양전동암각화 [클릭]

고령 맛집
◎ 대원식당 : 도토리수제비, 고령군 쌍림면 귀원리 1-4, 054-955-1500
◎ 우정갈비식당 : 우륵된장샤브샤브, 고령군 쌍림면 고곡리 266-5, 054-955-1351
◎ 소문난할매국밥집 : 돼지국밥, 고령군 고령읍 고아리 47-1, 054-955-4154
◎ 남해복어 : 복어탕, 고령군 고령읍 쾌빈리 520, 054-955-3456
◎ 옛촌 : 갈치정식, 고령군 고령읍 장기리 213, 054-955-0986
◎ 중앙식육식당 : 한우갈비살∙삼겹살, 고령군 고령읍 쾌빈리 434, 054-954-0648
◎ 영남식육식당 : 한우갈비살∙삼겹살, 고령군 고령읍 헌문리 276, 054-954-2303
◎ 고령휴게소식당 : 고등어정식, 고령군 쌍림면 고곡리 887-1, 054-955-7108
◎ 산막골 : 해물생칼국수, 고령군 고령읍 송리리 5-4, 054-955-0900

2012 고령대가야체험

















페이지